바로가기 목록

학술지(농촌경제)

제4유형
  • 여성 농업인의 역할증대와 건강관리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보고서 이미지 없음

    저자
    박재규
    등록일
    2006.03.01

    ※ 원문보기 클릭 시 에러가 나는 경우 조치 방법 : "고객센터 - 자주하는 질문" 참조

  • 이상의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먼저 여성 농업인의 영농활동 참여는 평균적으로 높은 편이다. 예를 들면, 여성 농업인 60% 이상이 하루 평균 9시간 이상 영농활동에 참여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여성은 노동력 부족을 느끼고 있어 영농활동 참여에 따른 업무가 과중함을 엿볼 수 있으며, 실제로 여성 농업인 가운데 과반수가 과중한 노동에 시달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여성 농업인의 영농활동에 대한 영향력은 낮고, 가사노동 부담이 큰 편이며, 남편의 가사노동참여는 상대적으로 매우 낮았다.
    여성 농업인 가운데 중절을...

  • 목차

    • 1. 서론
      2. 문헌검토
      3. 연구방법
      4. 자료 분석 및 논의
      5. 요약 및 결론

    요약문

    이상의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먼저 여성 농업인의 영농활동 참여는 평균적으로 높은 편이다. 예를 들면, 여성 농업인 60% 이상이 하루 평균 9시간 이상 영농활동에 참여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여성은 노동력 부족을 느끼고 있어 영농활동 참여에 따른 업무가 과중함을 엿볼 수 있으며, 실제로 여성 농업인 가운데 과반수가 과중한 노동에 시달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여성 농업인의 영농활동에 대한 영향력은 낮고, 가사노동 부담이 큰 편이며, 남편의 가사노동참여는 상대적으로 매우 낮았다.
    여성 농업인 가운데 중절을 경험한 사람이 과반수를 차지하였으며, 특히 출산 이후 산후관리 시간을 갖지 못하고 가사노동이나 영농활동에 참여한 여성 농업인도 17%를 차지하였다. 이런 결과는 농번기에 자녀를 출산한 여성 농업인의 경우 특히 많았으며, 여성 농업인 건강 향상을 위한 영양제 복용이나 운동, 충분한 식사, 그리고 건강검증 등은 높지 않은 반면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과도한 노동이나 지나친 스트레스로 고생한 경우는 약 40%로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여성 농업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결과에 의하면, 여성 농업인의 인구학적 특성 가운데 연령과 부채가 특히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것으로 나타났다. 즉 나이가 많은 여성 농업인일수록 건강 상태가 좋지 않았으며, 경제수준을 부정적으로 평가하였고, 농가 부채가 많은 경우는 여가생활과 경제수준에 대한 불만족이 높았다. 그리고 영농활동 및 가사노동 관련 내용의 경우 일손부족을 느끼거나 과다한 노동을 하고 있는 여성 농업인의 경우 건강 상태가 좋지 않았으며, 특히 남편의 가사노동참여에 만족을 느끼는 여성 농업인은 정신적 건강과 사회관계, 여가생활, 그리고 경제수준에 대한 만족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여성 농업인의 출산 이후 산후조리 관리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산후조리에 실패한 여성 농업인의 경우 삶의 질 수준이 낮았다. 그러나 출산 후 오랫동안 산후조리를 한 여성의 경우 삶의 질 수준이 높았다. 스트레스는 삶의 질에 부정적인 효과를 갖고 있는데, 특히 육체적 및 정신적 건강 상태를 악화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농업인의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친 요인은 여성 농업인의 연령, 과다노동, 남편의 가사노동참여, 출산 후 산후조리, 주거 환경으로 드러났다. 그런 의미에서 이 연구는 이들 내용과 관련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고자 한다.
    여성 농업인의 연령과 관련된 중요한 함의는 농촌지역사회의 노령화 현상이다. 즉 여성 농업인 가운데 나이가 많은 노인의 경우 육체적, 정신적 건강 상태가 좋지 않았고, 경제생활도 어려운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농촌?노인여성의 건강을 보호할 수 있는 제도 및 시설의 강화가 매우 시급하며, 노후 생활에 대한 불안감을 불식시킬 수 있는 농촌지역 복지제도의 강화도 필요하다. 노인의 경우 병원방문이 쉽지 않기 때문에 지역 보건지소의 기능 및 이동진료소의 기능을 강화시켜 주기적으로 농촌마을을 방문하여 진료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어야 할 것이며, 그리고 농촌주민의 경우 국민건강보험의 혜택을 확대하고 경로연금에서 제외된 노인의 경우 수혜가 가능하도록 농촌지원 특별법 제정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다음으로 여성 농업인의 과도한 노동을 경감시키는 동시에 남편 배우자의 가사노동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지원정책이 필요하다. 여성 농업인의 과도한 노동은 일차로 농촌지역의 노동력 부족에서 비롯되고 있기 때문에 노동력을 보충할 수 있는 정책이 요구된다. 즉 농번기 노동력 부족을 보충하기 위해서 자원봉사자에 의한 농촌일손 돕기를 활성화시켜야 한다. 예를 들면, 각 농촌지역(특히 군청 중심)은 대학교, 기업이나 사회단체와 ‘1촌1사’ 자매결연을 추진하여 농번기에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연결망을 구축하며,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이런 지원활동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자원과 시설을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특히 기초자치단체는 대학생의 자원봉사를 기다리기보다는 안정적으로 보급 받을 수 있도록 자매결연을 추진하면서 유익할 프로그램(즉 지역사회 유적탐방, 지역 주민과의 화합 축제 등)도 도입해야 한다.
    그리고 남편의 가사노동참여가 여성 농업인의 삶의 질에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남편의 가사노동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농촌지역의 남성 중심적 유교문화가 잔존하고 있는 현실에서 가사노동 참여가 개인적 차원의 문제이기 때문에 남성농업인의 의식개선을 위한 교육이나 홍보활동 강화가 필요하다. 따라서 남성농업인 관련 교육 과정에 양성평등문화, 가사노동참여의 필요성에 관한 프로그램이 반영될 수 있도록 제도화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끝으로 여성 농업인의 임신과 출산, 그리고 산후조리가 건강과 일상생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농가도우미 제도의 강화를 비롯한 지원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정부는 농가도우미 지원을 90일까지 확대하였지만, 여성의 영농활동참여 시급성을 고려할 경우 장기간 농사일을 중단하기 쉽지 않기 때문에 오히려 농가도우미지원제도는 이용범위의 확대와 지원 단가의 현실화, 농가도우미 이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고와 손실을 완만하게 해결할 수 있는 보험제도 도입이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그리고 여성 농업인의 경우 임신과정에서부터 출산에 이르는 전체 과정을 지원할 수 있도록 ‘농촌지역 특례제도’ 제정도 교려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women farmers' quality of life by their participation in agricultural and housework activities and the conditions of their health management. To explore this goal, it used sample data collected by a local research institute.
    From data analysis, this study found that women farmers who had excessively worked and have husband not share houseworks are less healthy, less satisfied with social relations, leisure and economic lives. And women farmers who had a poor management after childbirth and hypersensitivity are also less satisfied with their quality of life.

    저자정보

    이미지가 없습니다

    저자소개
    박재규 (Park, Chaekyu)
    저자의 다른 보고서

    보고서 이미지

    • 저자의 다른 보고서가 없습니다.

    저자에게 문의

    이미지가 없습니다

    저자소개
    박재규 (Park, Chaekyu)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 퇴사하신 분이지만 아래의 내용을 입력해 주시면 관리자가 전달해드리겠습니다.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10138 1 12 0 0
    • 같은 분야 보고서가 없습니다.
    • 같은 분야 인기 보고서가 없습니다.
    의견남기기

  • 다음글 농식품 품질 관련 연구들의 접근방법에 대한 고찰
  • 이전글 친환경 쌀 생산의 효율성 분석

맨위로